반응형
안녕하세요. 파라만3입니다.
이번글은 청년 채용 장려금 vs 고용 유지 지원금을 비교 설명 해 드리겠습니다.
학생·구직 기간이 끝난 청년에게 첫 직장을 제공하고 싶다면 청년 채용 장려금, 직원들의 이탈 없이 회사의 고용 안정을 유지하고 싶다면 고용 유지 지원금을 고려하세요.
💡 제도 목적 & 혜택 방식
항목 청년 채용 장려금 고용 유지 지원금
목적 | 청년(만 15~34세)의 정규직 채용 활성화 | 일시적 경영난 시 고용 유지 유도 |
지원 주체 | 고용노동부 + 사업주 | 고용노동부 + 고용보험 |
지원 방식 | 청년 1인당 최대 720만원, 사업주에게 분할 지급 | 휴업‧휴직 시 급여 일부 보전 (고용보험 재원에서) |
지원 요건 | 청년 정규직 채용 + 6개월 이상 근속 | 회사의 휴업‧휴직 또는 훈련 수요 발생 |
🛠️ 누가 & 언제 신청할 수 있나요?
- 청년 채용 장려금
- 신청 대상: 청년 고용 사업주
- 자격 요건: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했을 경우
- 신청 시점: 채용 후 6개월이 지나면 고용센터에 신청
- 고용 유지 지원금
- 신청 대상: 고용조정 계획이 있는 사업주
- 자격 요건: 경영상 휴업‧휴직 또는 훈련 도입 필요 시
- 신청 시점: 휴업 또는 해고 전 사업주가 고용센터에 신청
🎯 청년고용 중심이면 ‘청년 채용 장려금’ 추천
- 청년 채용 장려금은 자금 부담이 큰 기업에게 특히 유리
→ 청년 35세 이하 정규직 채용 후 6개월 이상 지속근무 시 금액 지급
→ 청년 1인당 최대 720만 원 사업주에게 지원됨
📌 생존·유지 중심이라면 ‘고용 유지 지원금’ 필요
- 고용 유지를 위해 감원 대신 휴업, 훈련 도입 등을 하면
→ 휴업수당의 일부를 고용보험에서 지원
→ 충분한 인건비 보전과 일자리 보호 가능
✅ 이 두 제도, 함께 쓸 수 있을까?
- 같은 청년·동일 근로자에게 동시 중복 수혜는 불가
- 단, 다른 근로자라면 적절히 활용 가능
- 사전 신청 시 어떤 지원이 우선인지 확인하는 게 좋죠!
🧩 실전 활용 가이드
- 신입·사회초년생 채용 계획 있다면
- → 청년 채용 장려금
- 예: 4월에 30세 청년 채용 후 6개월 경과 시 신청하면 최장 720만 원까지
- 경영상 위기 혹은 매출 감소 상황이라면
- → 고용 유지 지원금
- 예: 1개월 휴업 계획 수립 → 절약된 인건비 보전받고 고용 유지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같은 근로자가 두 제도 모두 받을 수 있나요?
- 원칙적으로 같은 근로자에게 중복 지원 불가하지만, 예산 상황에 따라 간헐적으로 가능성은 있음. 반드시 사전 상담 필요.
Q2. 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 청년장려금: 6개월 근속 이후 매 3개월 단위로 청구, 확인 후 지급
- 고용유지지원금: 휴업 기간에 따라 매월 또는 분기별 지급
Q3. 모든 사업장이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청년장려금: 중소·중견 기업 대상, 지원 제한 업종 존재
- 고용유지지원금: 업종 제한 없음, 단 고용보험 가입 필수
Q4. 얼마나 신청하면 좋을까요?
- “청년 중심 채용으로 장기 성장 기대 중 → 청년장려금 먼저,
단기 위기 관리가 시급함 → 고용유지지원금 우선” 이렇게 선택하세요.
📌 마무리
- 청년 채용 장려금: 청년 정규직 채용 시 사업주에게 실질적인 인건비 지원
- 고용 유지 지원금: 위기 상황에도 ‘해고 없이 일관된 고용 유지’ 가능
- 중소기업이라면 두 제도 모두 고려하되, 시점과 목적을 분명히 해서 신청하세요
청년 고용이 곧 회사의 성장입니다. 필요한 제도, 필요한 순간에 제대로 활용해서 기회를 현실로 만드세요!
더 자세한 상담이 필요하시면 고용센터 방문 또는 고용노동부 콜센터(1350)를 활용해보세요.
2025.07.23 - [분류 전체보기] -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지원대상·유형별 혜택까지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지원대상·유형별 혜택까지
안녕하세요. 파라만3입니다.“청년 채용만 해도 기업에 최대 720만 원, 청년에겐 최대 480만 원!”2025년에도 고용노동부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통해 청년의 안정적인 취업과 기업의 인건비
wisstory8512.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