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파라만3입니다.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IPO(기업공개)를 본격화했습니다.
주관사 숏리스트·PT 일정, 10조 밸류 논쟁, 최근 실적, 상장 시장, 규제 변화까지 투자자 관점에서 핵심만 정리합니다.
※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입니다. 실제 투자 판단은 최신 공시와 전문가 자문을 참고하세요.
상장 진행 상황 한눈에 보기(타임라인)
일자 | 이벤트 | 비고 |
---|---|---|
2025-08-18 | 국내외 증권사·IB에 주관사 RFP(입찰제안요청서) 발송 | IPO 착수 공식화. 향후 PT 후 주관사단 확정 예정. |
2025-09-29~30 | 주관사 후보 숏리스트 압축 | 국내·글로벌 합쳐 10~11개사 수준으로 압축. |
2025-10-21~23 (예정) | 주관사 PT(프레젠테이션) | 선정 경쟁 본격화. |
— | 거래소 예비심사 청구 | 10/2 현재, 언론은 ‘주관사 선정 단계’로 보고. 예심 청구 공시는 아직 확인된 바 없음(진행 상황 추후 공시 참조). |
*일정은 시장 상황·회사 결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무신사 개요 & 최근 실적
회사 한눈에
- 국내 최대 온라인 패션 플랫폼, PB/브랜드 투자·리테일·플랫폼 다각화
- KKR 등 글로벌 투자자 참여로 성장성 주목(IPO 검토 보도).
최근 실적(연결)
- 2025년 2분기: 매출 3,777억(+30.7% YoY), 영업이익 413억(+22.6% YoY), 순이익 408억(↑) - 분기 최대.
- 2024년: 매출 1조 2,427억(‘1조 클럽’), 흑자 전환 보도.
실적 모멘텀과 함께 뷰티·글로벌 투트랙(중국 합작법인, 상하이 오프라인 매장 계획 등)으로 체질 개선을 추진 중입니다.
밸류에이션 쟁점: ‘10조’ 가능한가?
목표 밸류 10조 원 보도가 잇따르며 논쟁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일부 매체는 10조 밸류가 코스피 대형주들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시장 설득이 관건이라고 전했습니다.
IB업계에서는 EV/EBITDA·PSR·PER을 혼용하는 제안서가 제출되고 있으며, 매출 고성장 대비 이익 검증 프레임 사이에서 산정 방식의 견해차가 큽니다.
또 다른 보도는 10조 밸류가 PER 140배+를 요구한다며 보수적 시각을 소개합니다. (밸류 band 7~10조 추정 보도 혼재)
4) 주관사·상장 시장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추진 보도.
- 주관사 숏리스트: 국내(미래에셋·삼성·KB·신한·하나 등) + 글로벌 하우스가 경쟁, 10~11개사 구성 보도.
- PT 일정: 10월 21~23일(예정).
*최종 대표주관사단은 PT 이후 회사가 확정 공지.
규제 환경 변화(2025) 체크
금융당국은 상장 규정 정비와 주관사 책임 강화 등으로 IPO 질 제고를 추진 중입니다(2025년 단계적 시행). 이는 무신사 같은 대형 IPO의 밸류·배정·수요예측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 체크리스트(기회/리스크)
👍 기회 요인
- 국내 1위 플랫폼·커뮤니티 기반의 견고한 트래픽
- 연환산 기준 매출 고성장, 분기 최대 이익 갱신(2025년 2Q)
- 뷰티·글로벌(중국 JV/오프라인)로 신규 성장동력 확보 시도
⚠️ 리스크 요인
- 밸류에이션 고평가 논란(10조 vs 7조대 관측 혼재)
- 수익성 변동성·피어 선정 난해(PSR·EV/EBITDA 혼용)
- 규제 환경 변화·배정·의무보유 등 제도 영향
FAQ
Q1. 지금 상장 예비심사는 들어갔나요?
10/2 기준 보도는 주관사 선정 단계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비심사 청구는 주관사단 확정 후 이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회사 공식 공시 확인 필요).
Q2. 상장은 코스피인가요, 코스닥인가요?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추진 보도가 다수입니다. 최종 시장은 회사 결정·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확정됩니다.
Q3. 목표 밸류 10조는 실제로 가능성이 있나요?
의견이 엇갈립니다. 실적 성장과 신사업 스토리로 방어 가능하다는 시각과, 수익성·피어 비교상 부담이 크다는 시각이 공존합니다. 공모가 산정은 기관 수요예측 결과에 크게 좌우됩니다.
Q4. 최근 실적 포인트는?
2025년 2분기 매출 3,777억(+30.7%), 영업이익 413억(+22.6%), 순이익 408억(↑)으로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요약 & 마무리
- 지금 어디? — RFP 발송(8/18) → 숏리스트(9/末) → PT 10/21~23 진행 예정.
- 핵심 쟁점 — 밸류 10조 논쟁(PSR·EV/EBITDA 혼용, 수익성 검증).
- 실적 — 2025년 2Q 분기 최대 실적, 성장 추세 유지.
- 제도 — 2025년 IPO 제도 변화(주관사 책임 강화 등) 체감 필요.
결국 관건은 주관사단 확정 이후 제시될 밸류·공모 구조·신규 성장 스토리를 시장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입니다.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댓글 + 구독 부탁드려요!